top of page

​아티스트 셀프 마케팅 7기

<2018년 4월 12일 (목) 개강 | 총 12강 | 저녁 7:30 ~ 9:00>

아티스트 프로모션 기업 <아트와(ARTWA)>에서는 동시대작가들을 대상으로 한 다양한 교육프로그램을 기획하고 있습니다. 갈수록 치열해지는 미술생태계에 적응하고 효과적인 창작도모를 위해 마련된 아트와의 교육프로그램은 현직에 있는 전문가들의 다양한 경험과 실질적인 이론 강의로 구성되어 있습니다.

 

<아티스트 셀프 마케팅> 강좌는 국내유일의 작가들을 위한 실질적인 교육 및 지원 프로그램입니다. 지난 2016년 1기를 시작으로 현재 6기 강좌를 성공적으로 진행하면서 국내 작가들에게 큰 관심과 사랑을 받고 있습니다. 본 강좌에 신청하신 작가 분들과의 소중한 인연의 결과로 현재까지 9명의 개인전을 진행했고, 8명의 작가 분들이 국내 저명한 평론가의 글을 받았습니다. 금년 2월에는 프랑스 아트캐피털 아트페어에 6명이 참여하여 그 중 고권 작가는 ‘최우수 청년작가상’을 수상하였고 더욱이 참여한 작가 분들 모두에게 글로벌 저작권 ADAGP 에 등록할 수 있도록 아트와에서는 전폭적인 지원을 아끼지 않았습니다.

 

새롭게 시작하는 <아티스트 셀프 마케팅 7기>는 서울시립미술관 백기영 학예연구부장, 정성희 변호사 등 강화된 강사진과 커리큘럼으로 최고의 전문가들과 함께 동시대 미술가로서의 자리 찾기와 새로운 비전을 알아보는 귀한 시간이 될 것입니다.

 

 <아트와> 임직원들은 <아티스트 셀프 마케팅> 교육을 통해서 당대 예술가의 삶을 영위하는 이들에게 보다 깊은 예술적, 미학적 세계를 공유할 수 있는 장이 될 수 있도록 더욱 최선을 다하고 있습니다.

강사소개
홍경한 미술평론가, 강원국제비엔날레 총감독 (1,2,8,9,12강)
강사 홍경한은 미술평론가이자 칼럼니스트이다. 대림미술관 사외이사, 인천아트플랫폼 운영자문위원, 박수근미술관 운영위 등을 역임하고 있다. 월간 <미술세계>, 월간 <퍼블릭아트>, 시각예술저널 <경향 아티클> 등, 국내 주요 미술잡지에서 오랜 시간 편집장을 맡아왔으며, 국립현대미술관 자문위원, 부산비엔날레 집행위원, 서울시립미술관 전시평가위원 등을 지냈다. 저서로는 교양서인 『민주주의와 리더십이야기』를 비롯해, 미술평론집 『기전미술』, 문화예술 비평집 『고함』 등이 있다. 주간경향, YTN, 대구신문, 메트로신문 등에 고정적으로 칼럼을 쓰고 있다.
​백기영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부장 (3강)
 
백기영은 1996년 홍익대학교 회화과를 졸업하고 독일 뮌스터 쿤스트 아카데미에서 미디어 아트를 전공하였다. 2002년 귀국 후, 한국 미술계의 대안적 제도정책을 위해 설립된 미술인회의 사무처장을 역임하고 2004년부터 새롭게 출범한 한국문화예술위원회의 시각예술 소위원 (2005) 다원예술소위원 (2006-2007) 을 역임하고 공공미술추진위원 (2006) 을 지냈다. 2005년부터 경기문화재단 기전문화대학에서 문화예술교육 지원 사업을 담당하기도 하였다. 2006년 광주 의재창작스튜디오에서 레지던시 프로젝트를 기획한 이래로 2007년 커뮤니티스페이스 리트머스를 걸쳐 2009년 경기창작센터와 경기도미술관에서 다양한 전시와 프로그램을 기획하였다. 경기문화재단의 문예지원팀 (2013) 과 북부사무소장 (2015) 를 걸쳐 최근에는 서울시립미술관 학예연구부장으로 일하며 서울시공공미술위원 (2017) 으로 있다.
김희영 서울문화재단 생활문화사업팀장 (4강)

- 서울문화재단 금천예술공장 매니저/공공예술센터 팀장

- 부산시 부산비엔날레 조직위원회 전시팀

- 경기도 세계도자기엑스포2001경기도 전시팀

- 서울시 서울국제미디어아트비엔날레2000 전시2팀

이기언 한국예술인복지재단 과장 (5강)

(사)Community Space Litmus의 큐레이터로 예술현장에서 활동을 시작했고, 경기문화재단 나눔센터와 문화예술교육지원센터 주임으로 현장예술인과 협력파트너로 일했다. 현재는 예술인의 사회보장, 직업안정, 창작활동 지원 등 예술인들의 복지 증진을 위해 설립된 재단법인인 ‘한국예술인복지재단’에 재직 중이며, 시혜적 관점의 예술인복지구조를 넘어서는 <예술인 파견지원> 사업 총괄을 비롯해 기업·기관 등과의 협업을 통해 예술인이 자신의 역량을 새로운 시각으로 발견할 수 있도록 다양한 정책개발에 힘쓰고 있다.

최유진 ARTWA 총괄디렉터 (6강)
지난 17년간 만레이 (Man Ray) 특별전, 세바스티앙 살가도(Sebastiao Salgado) 대형기획전, 세계사진역사전 (65명)등 200회 이상의 다양한 전시를 기획했다. 2009~2014년까지 BMM(부띠크모나코미술관) 부관장을 역임했고, 2015년에는 광복 70주년 기념으로 한국학중앙연구원이 주관 『사진으로 읽는 한국 근현대사』 총서 발간 프로젝트 총괄 매니저로서 3만장 이상의 한국 근현대사 사진 기록물을 수집하고 디지털 아카이브를 구축했다. 국내 최초로 2006년에 KT&G 상상마당에서 큐레이터 입문 과정을 개설하였고, 8년간 KT&G 상상마당 및 BMM아카데미에서 총 10기 356명의 수강생이 수료했다.
정성희 변호사 (7강)

고려대학교 노어노문학과 졸업 및 동 대학교 국제대학원 졸업, 영국 브리스톨 대학교 법학 석사

사법시험 합격 (제49회) 및 사법연수원 수료 (제39기), 변호사, 변리사 자격 취득 (2011년)

영국 Clifford Chance LLP 본사 근무

법무법인(유한) 정평 소속 변호사

현 법무법인 시화 구성원 변호사

고충환 미술평론가 (10강)
고충환은 1961년 부산에서 태어났으며, 영남대학교 회화과와 홍익대학교 대학원 미학과를 졸업했다. 1996년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키치의 현상학 이후, 신세대미술의 키치 읽기>로 등단했으며, 2001년 성곡미술대상과 2006년 월간미술대상 학술부문 장려상을 각각 수상한 바 있다. 그동안 <재현의 재현전>(성곡미술관), <비평의 쟁점전>(포스코미술관), <조각의 허물 혹은 껍질전>(모란미술관), <드로잉조각, 공중누각전>(소마미술관)을 기획한 바 있으며, 저서로는 <무서운 깊이와 아름다운 표면>(2006)과 공저로 <비평으로 본 한국미술>(2001)이 있다. 현재 한국미술평론가협회와 국제미술평론가협회 회원으로 있다.
박영택 경기대학교 교수, 미술평론가 (11강)

1963년 서울출생으로 성균관대학교에서 미술교육과 동대학원에서 미술사를 전공했다. 또한, 뉴욕 퀸스미술관에서 큐레이터를 연수하고, 금호미술관에서 수석큐레이터로 일한바 있다. 외에도 제2회 광주비엔날레 특별전 큐레이터, 아시아프 전시 총감독, 세마(SeMA) 미술평론상 심사위원, 조선일보 신춘문예 미술평론 심사위원 등을 역임하였으며, 현재 미술평론가이자 경기대학교 예술대학 교수로 재직 중에 있다.   

저서로는 <한국현대미술의 지형도>, <애도하는 미술>, <허루>, <수집미학> 등 16권이 있다.

커리큘럼

01강  [4월 12일] 

오리엔테이션: '예술'과 '예술적'인 것

- 강사 홍경한

-------------------------------------------------------------------------------------------------------

02강  [4월 19일] 

한국미술계의 생태와 구조

- 강사 홍경한

-------------------------------------------------------------------------------------------------------

03강  [4월 26일] 

동시대 예술가들의 전략과 현상

- 강사 백기영

-------------------------------------------------------------------------------------------------------

04강  [5월 02일 수요일

창작레지던시 (창작공간) 의 이해와 접근방법

- 강사 김희영

-------------------------------------------------------------------------------------------------------

05강  [5월 10일] 

꼭 알아야할 ‘예술인복지’, 그 모든 것

- 강사 이기언

-------------------------------------------------------------------------------------------------------

06강  [5월 17일] 

작품가격 형성과 미술1,2,3차 시장의 이해

- 강사 최유진

-------------------------------------------------------------------------------------------------------

07강  [5월 24일] 

예술가가 반드시 알아야할 관련법 (法)

- 강사 정성희

-------------------------------------------------------------------------------------------------------

08강  [5월 31일] 

포트폴리오 작성법과 예시

- 강사 홍경한

-------------------------------------------------------------------------------------------------------

09강  [6월 07일] 

효과적인 사업계획서 작성법과 예시

- 강사 홍경한

-------------------------------------------------------------------------------------------------------

10강  [6월 14일] 

포트폴리오 리뷰①

(수강생들의 실제 작품에 대한 비평, 토론)

- 강사 고충환

-------------------------------------------------------------------------------------------------------

11강  [6월 21일] 

포트폴리오 리뷰②

(수강생들의 실제 작품에 대한 비평, 토론)

- 강사 박영택

-------------------------------------------------------------------------------------------------------

12강  [6월 28일] 

포트폴리오 리뷰③

(수강생들의 실제 작품에 대한 비평, 토론)

- 강사 홍경한

※ 커리큘럼 및 강의 순서는 일부 변경될 수도 있습니다.

    - 4강: 창작레지던시 (창작공간) 의 이해와 접근방법 (강사 김희영) 강의는  [5월 02일  수요일] 에 진행되오니 다시 한번 확인 부탁드립니다.

※ 정규강좌에 등록한 수강생에 한하여 포트폴리오 리뷰 시간을 가질 수 있으며 모든 강좌는 단과 수강이 가능합니다.

본 강의는 작가, 예비 작가, 작가를 희망하는 개인, 새로운 전환을 고민 중인 분들 모두 수강할 수 있습니다.

혜택

▶ 수강생 중 1명을 선정하여 [아트와] 에서의 차년도 개인전 및 해외 아트페어 참여기회를 제공합니다.

     - 지원부문 : 공간, 큐레이팅, 카탈로그, 오프닝 행사, 비평

▶ 12강 개근 수강생에겐 ‘아트와’에서 준비한 소정의 선물을 드립니다.

▶ 각 강의별 단과 신청도 가능합니다.

▶ 본 교육프로그램 수강생에겐 강의 시작 전, 간단한 식사와 음료가 제공됩니다.

※ 문의 : 02-774-7747 | info@artwa.net | www.artwa.net
※ 결제안내: 전체수강_50만원 / 단과수강_5만원 (1강)

                 네이버페이, 계좌이체 및 카드결제 가능 [계좌번호] 국민은행 (주)아트와  387637-04-005760
※ 수강신청은 결제순, 선착순 마감합니다.

혜택

아트와는 지난 아셀마 1~5기 수료작가들과 함께 수료전 (58명), 프랑스 아트페어 참가 (6명), 최우수 청년작가상 수상 (프랑스), 개인전 (9명), 평론가매칭 (8명), 1:1큐레이션 (다수), 글로벌 저작권 등록 (5명) 등 다양한 프로모션을 진행하며, 수업 이상의 가치를 만들어내고 있습니다.

bottom of pag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