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O Kwon
고 권
Artist Statement
The years of 2008 to 2017, Kweon Ko’s work showed how his practice matured. During this period, through his ten distinctive themed solo exhibition, he experimented and developed with the process of change on the subject matters or topics that attracted him. He believes that all the living beings in the cosmos are a marvelous creation of nature that proves the evolution of life. Therefore, he insists on clearly manifesting his belief that ‘every creation has value and beauty’ through his works.
작은 고장에서도 계절은 깊고 그윽하게 찾아와 극명한 흔적을 남긴다.
그 안에 사람들의 치열한 삶과 이웃한 작은 피조물들의 어우러짐, 이를 감싸 안는 생명력 넘치는 자연.
이 모든 것들은 저마다의 의미와 가치를 지니고 아름답게 공존한다. –고권, 2018
1980년생 고권 작가가 태어나고 성장한 제주도는 당시만해도 해녀가 약 2만여 명에 이르렀고 오염되지 않은 청정한 공기와 아름다운 풍광 때문에 세계에서 유일하게 유네스코 자연 과학 분야에서 3관왕을 달성한 아름다운 섬이다. 그의 작품에 지속적으로 등장하는 바다, 물고기, 숲 등은 이러한 환경이 고스란히 등장한다. 특히 정월 초 날씨를 보고 한 해의 운을 점칠 정도로 무속신앙이 발달한 제주도에서 이러한 소재는 자연스럽게 그의 작품에 나타난다. 또한 북방 샤머니즘과 고대 고분벽화의 표현방식은 작가에게 무척 흥미로운 요소로 다가왔다. 어린 아이처럼 순수하게 형식이나 구성에 구애 받지 않는 자유로운 표현방식은 이러한 환경적인 영향과 한국의 인문학적 관심에서 비롯되었다 할 수 있다.

개를 안고 가는 남자
73x61cm 캔버스에에 아크릴 2019
개를 안고 가는 여자
116x92cm 캔버스에에 아크릴 2018



끝없는 기다림
210x150cm 장지에 아크릴 2017
달콤한 숲
210x150cm 장지에 먹, 아크릴 2017
다섯 개의 섬
193x130cm Acrylic on Canvas 2017
고권은 2008년~2017년까지 10회의 개인전을 주제별로 정리하여 전시하면서 스스로 작품을 통해 성장했다. 그는 관심있는 소재나 주제가 생기면 매해 지속적으로 작업하면서 변화의 양상을 실험하고 발전시켜 나갔다. <누운 아이>, <복어>, <추운 날>, <세 갈래 길>이 이에 해당한다. 특별히 <세 갈래 길>은 작가가 유년기와 청소년기의 성장 통을 추억할 수 있는 작품이며 <추운 날>은 작가의 초상처럼 수없이 소년과 도마뱀을 등장시키며 자신의 현 상태와 의지를 표현하고 있다.




추운 날
162x132cm 종이에 먹, 채색 2011
城
162x122cm 종이에 먹, 안료 2012
성산관일(城山觀日)
194x130cm 종이에 먹, 채색 2014
추운 날
54x39cm 종이에 연필, 아크릴 2015


세 갈래길에서의 만남
162x130cm 종이에 먹, 채색 2009
세 갈래길
162x130cm 한지에 먹, 채색 2013


Giant
46x53cm Acrylic on Canvas 2016
누운 아이
162x132cm Acrylic on Canvas 2017
고권은 제주대학교에서 한국화, 홍익대학교 대학원에서 동양화를 전공했다. 작가는 역사와 각 나라를 대표하는 독특한 문화와 전통에 관심이 많았다. 따라서 자연스럽게 한국화를 전공으로 선택한다. 그러나 그는 동서양의 다양한 표현방식을 섞거나 변형하는 자유로운 형식으로 10년이라는 짧은 시간에 누구도 따라할 수 없는 그림 스타일을 상당히 빠르게 정립한 작가라고 할 수 있다.
현재는 둔탁한 장지의 물성과 아크릴의 매끈하고 강렬한 색상을 입히거나 장지 위에 분채(가루 안료)를 이용한 전통 채색화 방식을 자주 사용하고 있으며 종이에 먹, 콘태, 연필로 드로잉 작업을 하고 있다.



별
162x130cm 장지에 먹, 채색 2015
복어
149x210cm 장지에 아크릴 채색 2017
2017년은 작가에게 특별한 시간이었다. ‘이중섭 미술관 창작스튜디오’에 입주하여 1년간 원없이 대형 작업을 할 수 있었다. 그리고 어릴 적부터 동식물, 곤충의 생태적인 측면에 관심이 많았는데 현재는 조형적인 형태에 대한 연구로 발전시키는 작업을 하고 있다. 동식물과 곤충을 의인화하는 작업은 신화나 설화에서도 등장한다. 작가는 이러한 작업을 ‘신화나 샤머니즘에 대한 관심과 연동된 연작’이라고 말한다.

별이 되고 싶은 소망
162x112cm 장지에 먹, 채색 2014

Mom! i'm home 162x260cm Oil on Canvas 2009
Prince of Jeju 162x130cm Oil on Canvas 2009




엄마와 함께 춤을
194x130cm Oil on Canvas 2009
Forest
72x60cm Oil on Canvas 2012
기념
72x60cm 한지에 먹, 채색 2013
공주
68x50cm 장지에 먹, 채색 2015
고권 작가는 우주에 존재하는 모든 생명체는 자연의 경이로운 창조물이며 생명의 진화를 입증한다고 생각한다. 따라서 ‘모든 피조물이 가치를 지니고 아름답게 보인다.’는 그의 생각을 가장 정확하게 드러내는 작업을 고수하고 있다. 글_최유진
Artist Biography
Born 1980 in Jeju, Republic of Korea
Currently lives in Jeju, Republic of Korea
Selected Solo Exhibitions
2018 Infinite Wait, Artwa, Seoul, Korea
2017 Infinite Wait, Lee Jung Seob studio Gallery, Jeju, Korea
2017 Snow Shine Sea, Artwa, Seoul, Korea
2016 Fall Winter Spring, Gallery Grida, Seoul, Korea
2015 lsland Variations - Breathless Living, Jeju Modern Art Museum, Jeju, Korea
2014 Personal Tale, Gallery Shinhan, Seoul, Korea
2013 Growing Island, Gallery Grida, Seoul, Korea
2012 I am Isiand, Gallery Yeon, Jeju, Korea
2011 Returns, Gallery Hwabong, Seoul, Korea
2009 The days twinkled, Gallery Munhwailbo, Seoul, Korea
2009 The personal memory of Mr.K, Gallery Good Morning Sinhan, Seoul, Korea
2008 The marginal man-Become a travelers, Gallery Sinhan, Seoul, Korea
2008 House of Desert, Gallery Hut, Seoul, Korea
Selected Group Exhibitions
2018 Can ART go too far, Hwazui Art Center, Shanghai
2018 Art Capital 2018 - Société des Artistes Indépendants, Grand Palais, Paris
2018 Can ART go too far 2018, Artwa, Seoul
2017 Can ART go too far 2017, Artwa, Seoul
2015 Variations of Islands, Jeju Museum of Art, Jeju, Korea
2015 Living in Seogwipo, Seogwipo Art Center, Jeju, Korea
2014 Era and Sensibility, Haeden Museum, Inchun, Korea
2012 island of Dreaming Mythology, Gallery Obaeckjanggun, Jeju, Korea
2011 Finding Flow, Jeju Museum of Art, Jeju, Korea
2010 Nomad Dreaming, Gallery Lee Jung Seop, Jeju, Korea
2010 Fucusing Local Part.1 Jeju Island, Gallery The K, Seoul, Korea
2010 □+depth, Gallery La Mer, Seoul, Korea
2010 FIFTEEN KEYS, Seoul Art Gallery, Seoul, Korea
2009 Jeju Art Festival, Jeju Art Hall, Jeju, Korea
2009 Seogwipo Art Festival, Gidang Art Museum of Seogwipo, Jeju, Korea
2009 Jeju Art, Yesterday and Today, Jeju Museum of Fine Art, Jeju, Korea
2008 Gang Hwa Byulkuk, Bupyeong History Museum, Inchun, Korea
2008 Pre-view, Gallery Munhwailbo, Seoul, Korea
2008 ASYAAF, Seoul Station, Seoul, Korea
2007 Jeju Art Festival, Kim-Jung Culture Hall, Jeju, Korea
2007 Sameboat, Kyunghyang Gallery, Seoul, Korea
2007 Wa-won, HongIk Univ. Contemporary Art Museum, Seoul, Korea
2007 Island-Space, Jeju Art Hall, Jeju, Korea
Awards and Residencies
2017 Lee Jung Seob art museum studio residency, Jeju, Korea
2013 Jeju culture & Art foundation Art creation promotion fund
2008 Art Council Korea's Arts Promotion Fund of the 2008
Public Collections
Jeju Museum of Art
Jeju Museum of Contemporary Art
Lee Jung Seob Art Museum
Gidang Art Museum
작가 약력
1980 제주 출생
학력
2011 홍익대학교 일반대학원 동양화과 졸업
2007 제주대학교 한국화과 졸업
주요 개인전
2018 끝없는 기다림, 아트와, 서울
2017 끝없는 기다림, 이중섭미술관 창작스튜디오, 제주
2017 눈 빛 바다, 아트와, 서울
2016 Fall Winter Spring, 갤러리그리다, 서울
2015 가을 겨울 봄, 갤러리 그리다, 서울
2014 개인의 설화, 신한갤러리, 서울
2013 커가는 섬, 갤러리 그리다, 서울
2012 나는 섬이에요, 연갤러리, 제주
2011 RETURNS, 화봉갤러리, 서울
2009 빛나던 날들, 문화일보 갤러리, 서울
2008 경계인-여행자 되기, 신한갤러리, 서울
2008 사막의 집, 갤러리 헛, 서울
주요 단체전
2018 Can ART go too far, 화추이아트센터, 상하이
2018 Art Capital 2018 - Société des Artistes Indépendants, 그랑팔레 (Grand Palais), 파리
2018 Can ART go too far 2018, 아트와, 서울
2017 Can ART go too far 2017, 아트와, 서울
2015 섬의 변주곡 - 지역네트워크 3인전, 제주현대미술관, 제주, 한국
2015 서귀포에 살다, 서귀포 예술의 전당, 제주, 한국
2014 시대와 감성-해든미술관 개관전, 해든미술관, 강화, 한국
2012 꿈꾸는 신화의 섬, 오백장군 갤러리, 제주, 한국
2011 몰입, 제주도립미술관, 제주, 한국
2010 꿈꾸는 노마드 -섬의 시간-, 이중섭 미술관, 제주, 한국
2010 Fucusing Local Part.1 Jeju Island, 갤러리 더 케이, 서울
2010 +depth, 갤러리 라메르, 서울
2010 FIFTEEN KEYS, 서울미술관, 서울
2009 제주 미술제, 제주특별자치도 문예회관, 제주, 한국
2009 서귀포 미술제, 기당미술관, 제주, 한국
2009 제주미술의 어제와 오늘전, 현대 미술관, 제주, 한국
2008 강화별곡 살어리랏다전, 부평역사박물관, 인천, 한국
2008 Pre-view, 문화일보갤러리, 서울
2008 아시아프, 서울구역사, 서울
2007 제주미술제, 김정문화회관, 제주, 한국
2007 Sameboat, 경향갤러리, 서울
2007 와원전, 홍익대 현대미술관, 서울
2007 섬여백전, 제주특별자치도 문예회관, 제주, 한국
수상 및 레지던시
2017 이중섭 미술관 창작스튜디오
2012 제주문화예술재단 작가지원
2008 한국문화예술위원회 신진작가지원
소장처
제주현대미술관
제주도립미술관
서귀포기당미술관
이중섭미술관